왜 나는 그걸 몰랐을까?
매달 빠져나가는 보험료는 늘 비슷했고,
보험사에서는 1년에 한 번쯤 “계약현황 이메일”을 보내오긴 했습니다.
보험료 금액만 보고 특별히 달라진 게 없어 보여 그냥 넘겼죠.
저는 2013년 생명보험사의 종신보험에 가입했고,
실손 특약도 함께 넣었습니다. 10년 납 조건이었기에 본계약은 2년 전 이미 완납됐습니다.
그런데 얼마 전 통장 출금을 보고 정말 놀랐습니다. 특약 하나로 월 보험료가 매월 105,000원이 넘는 금액이 찍혀 있다는 사실을요.😡
돌이켜보면 너무 당연한 걸 왜 몰랐을까 싶을 정도로 허탈했습니다.
이 글은 저처럼 실손 특약을 오래도록 무심코 방치한 분들을 위해 쓰는 이야기입니다.
지금 당신의 보험도 점검이 필요한 때일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.
1. 나는 구실손이 아닌 ‘표준화 실손’ 가입자였다
보험사에 확인해 보니, 제가 가입한 건 2009년 10월 이후 판매된 표준화 실손(2세대)이었습니다.
이 상품은 급여는 10%, 비급여는 20%의 자기 부담금이 존재하고, 구실손보다는 보장이 축소된 형태지만 여전히 보험료 인상률이 매우 높습니다.
2. 실손보험, 왜 이렇게 비싸졌을까?
- 손해율 악화 → 보험사 매년 보험료 인상
- 표준화 실손도 갱신형 특약으로 설계됨
- 병원 이용률 관계없이 보험료 일괄 인상
- 생명보험 특약이라 단독 유지·전환 어려움
3. 실손 특약만 남았는데도 10만 원, 말이 되나?
2022년부터 보험료가 급격히 오르더니, 2024년엔 결국 월 10만 원 돌파. 병원도 자주 가지 않는데 이런 금액을 매달 내야 한다는 게 납득되지 않았습니다.
아래는 어제 상담을 통해 받은 보험증권 일부입니다.
제가 계약했을 당시, 종신보험 본계약과 적립금까지 포함해서 월 납입 보험료는 약 9만 원대였습니다.
그 금액이면 미래 보장도 받고, 일정 금액은 적립도 되는 구조였기에 납득할 만해서 가입했었죠.
그런데 지금은 본계약은 납입 완료, 적립도 종료, 특약만 남았는데도
월 10만 원이 넘는 보험료가 청구되고 있습니다.
이 계약이 보장내용 대비 합리적인 선의 보험료인지 아니면,
새로운 4세대 신실손으로 갈아타는 게 옳은 선택인지 저도 궁금합니다.
혹시 잘 아시는 분은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꼭 댓글 부탁드려요!
📄 실제 계좌 보험료 지출 내역 캡처
실손 특약 보험료 지출 내역
과거에는 종신보험 포함 총 9만 원대였지만,
보장은 예전 그대로인데 납입금액 과하게 높아진 이 상황이 과연 정상적인지,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.
4. 생명보험사의 실손 특약은 왜 답답한가?
생보사 실손은 단독 상품이 없고 반드시 특약 구조입니다.
실손만 남기거나, 싸게 관리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죠.
신실손으로 전환하더라도 여전히 특약 형태일 가능성이 높고, 보험료 절감 효과는 제한적입니다.
보험설계의 잘못, 왜 우리가 책임져야 하나요?
보험료가 해마다 급등하는 걸 겪으면서, 자연스럽게 한 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.
실손보험의 구조적 한계 — 무분별한 보장, 낮은 자기 부담금 — 보험사들이 설계한 건데,
그 후폭풍을 왜 지금 우리가 전부 감당해야 할까요?
저는 병원에 자주 가지도 않았고, 보험을 악용한 적도 없습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, 매년 오르는 보험료를 아무 말 없이 감내해야 하는 현실이 회의감으로 다가왔습니다.
이제는 이렇게 묻고 싶습니다.
“보험 시스템이 지금도 정당하게 작동하고 있는 걸까?”
5. 실손보험 종류별 자기부담금 비교
종류 | 가입 시기 | 자기부담금 | 현재 보험료 인상 |
---|---|---|---|
1세대 구실손 | ~2009.9 | 없음 | 매우 큼 |
2세대 표준화 실손 | 2009.10~2017.3 | 급여 10%, 비급여 20% | 매우 큼 |
4세대 신실손 | 2021~ | 급여·비급여 분리 + 자기부담 확대 | 상대적 안정 |
📌 핵심만 요약하면?
- 종신보험은 이미 완납, 현재는 실손 특약 하나만 유지 중
- 과거 전체 보험료 9만 원대 → 지금 실손 하나로 10만 원 초과
- 보장은 그대로인데, 보험료만 급등
- 실손보험 인상은 단순한 나이 때문이 아님 — 구조적 문제
- 보험 설계의 실패를 이제 와서 고객이 책임지는 구조
- 지금 당신의 보험도 다시 들여다볼 시점입니다
6. 나는 지금, 실손 리모델링 상담을 진행 중입니다
현재 보험 리모델링 전문가와 상담 중이며,
실손 특약 해지 후 손해보험사의 신실손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조정 중입니다.
지금 구조를 유지했다면 향후 10년간 무려 1,200만 원 이상을 납부해야 할 뻔했죠.
상담이 마무리되면, 실제 전환 내용과 절차도 이 블로그에 공유해 드릴 예정입니다.
7. 결론: 자기부담금 있다고 안심하면 안 된다
“자기 부담금이 있으니 보험료가 싸겠지”라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. 2세대 실손도 손해율이 높아, 실질 보험료 부담이 구실손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
지금 당장 보험계약서를 꺼내 확인해 보세요. 나도 모르게 월 10만 원이 빠져나가고 있을 수 있습니다.
📌 실손 특약 점검 체크리스트
- 내 실손이 구실손인지, 표준화 실손인지 확인
- 자기 부담금 조건 파악
- 최근 1년간 병원 이용 내역 점검
- 신실손 전환 또는 신규 가입 가능성 확인
📌 다른글 보기
해외 여행자 보험, 왜 꼭 가입해야 할까? 실속 있는 가입 방법 꿀팁까지!
해외 여행자 보험, 왜 꼭 가입해야 할까? 실속 있는 가입 방법 꿀팁까지!
우리는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, 숙소 예약이나 환전, 짐 꾸리기에만 정신이 없지요?저 또한 그랬답니다.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어요. 바로 여행자 보험 가입이에요."별일 없겠지" 하는
myblog25321.tistory.com
📝 혹시 여러분도 비슷한 경험 있으신가요?
저처럼 실손 특약 하나만 남은 줄 모르고 보험료를 계속 내고 계셨던 분, 혹은 ‘이거 뭔가 이상한데…’ 싶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?
같은 경험 있으신 분은 댓글로 여러분의 이야기를 함께 나눠주세요. 누군가에겐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.
보험 잘 아시는 지인분들께 이 글 한번만 공유 부탁드려요.
읽어보시고 조언이나 의견 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!
**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**
상담이 마무리되면 알려드리겠다고 했었죠?
드디어 상담이 끝나고 결과를 내일 아침 블로그에 올립니다.